통화지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통화량을 나타내는 척도가 통화지표이다.
중앙은행은 경제에서 유통되는 화폐의 양을 경제 규모에 맞게 적정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통화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통화지표는 통화를 어떻게 정의하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M1과 M2를 통화지표로, Lf와 L을 유동성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M2를 명목기준지표(target)로 하여
그 증가율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통화량목표제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새로운 금융상품의 출현, 금융시장의 발전 등으로 통화량과 실물변수간의 관계가 약화됨에 따라 여건 변화에 부합하는 새로운 통화정책 운용체계인 물가안정목표제를 1998년 도입하여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이후 통화량은 달성해야 하는 명목기준지표가 아니고 물가 및 경기 전망 등을 평가하는 정보 변수로서 활용되고 있다.
M0(본원통화)
M0=화폐발행잔액(민간 보유 현금+은행보유 시재금) + 중앙은행 예치금(지급준비예치금)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돈의 양을 나타내는 척도
→즉시 사용이 가능한 유동이 가장 좋은 통화
중앙은행에서 직접 조달하는 화폐수량
**은행은 [대출하고 남은 예금 + 지급준비금]을 시재금으로 자신의 금고에 보유하거나 중앙은행에 예치하게된다.
M1(통화, 협의통화)
M1(통화)= M0+요구불예금(당좌예금, 보통예금)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돈으로 바꿀 수 있는 통화
지급결제수단 기능에 초점을 맞춘 지표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과 은행 당좌예금, 보통예금 등 요구불예금을 합친 것
M2(총통화, 광의통화)
현금화 할 수 있는 화폐로 시중에 풀린 현금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
M2=M1+2년 미만 금융상품(2년 미만 예적금, MMF, CMA, CD, 금융채, 수익증권, 펀드)+외화예금
→일정기간 이후 즉시 사용할 수 있는 돈으로 바꿀 수 있는 통화
**2~3개월 해지 기간이 있는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 머니마켓펀드(MMF), 수익증권(펀드),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시장형 상품,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수시입출식 금융상품(CMA) 등이 추가로 포함된다. (*이자나 수수료만 포기하면 현금화 할 수 있음)
우리나라는 M2가 다른 통화지표보다 경제성장, 물가 등 실물경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봐서 통화 관리의 중심지표로 사용하고 있음
LF(금융기관 유동성) (←M3(총유동성) 변경됨)
LF= M2+2년이상금융상품+생명보험회사의 보험계약준비금+증권금융의 예수금
Lf는 M2에 예금취급기관의 만기 2년 이상의 장기 정기예적금, 금융채, 금전신탁과
생명보험회사의 보험계약준비금 및 증권금융의 예수금 등을 포함한다.
종합금융회사 투자신탁회사, 상호신용금고, 신용협동조합, 생명보험 등 2금융권의 각종 예수금과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금융채, 표지어음과 상업어음 매출, 환매조건부채권(RP)매도 등을 합한 가장 넓은 의미의 지표다.
금융의 자율화와 국제화로 금융자산간 또는 금융권간 자금이동이 빨라지면서 통화지표간 차이가 커지고 있어 이를 모두 포괄하는 M3(LF)가 시중 유동성을 판단하는 지표로써 효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L(광의 유동성)
L= LF+국채, 지방채, 국공채, 회사채
L은 Lf에 기업 및 정부 등이 발행한 기업어음, 국채, 지방채, 회사채 및 국공채 등 유가증권을 포함한다.
한 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전체 유동성의 크기를 측정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