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은 경제학에서 물가상승률과 실업률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모델 또는 그래프입니다.
필립스 곡선
1958년에 영국 경제학자 필립스가 100년간 통계자료 수집해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명목임금 상승률)의 음의 상관관계 규칙을 처음 발견했습니다.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이 낮을 때 실업률이 높고,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실업률이 낮습니다.
즉, 실업률이 낮을수록 물가상승률이 높고, 반대로 물가상승률이 낮을수록 실업률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필립스 곡선 그래프
필립스 곡선은 특정 시기나 지역에 따라 변동할 수 있으며, 경제 조건, 기대 및 다른 변인들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취할 수 있습니다.
정부 정책의 영향을 강조합니다. 정부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간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립스 곡선은 정부가 이러한 정책을 통해 원하는 경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가지 경제정책 목표는 동시에 달성될 수 없으며, 어느 한쪽의 달성을 위해서는 다른 한쪽을 희생해야 한다고 봅니다.
경기변화의 원인이 수요충격에서 올 경우, 물가와 실업률 두마리 토끼를 잡는것은 과욕이기에 둘중에 하나에 유리한 정책을 선택해야 한다고 봅니다.
필립스곡선의 한계
본래 필립스곡선은 실업률과 물가상승률(명목 임금상승률) 사이의 경험적 관계를 서술한 데 그치며, 관계가 성립하는 이유까지는 이론적으로 설명해 주지 못합니다.
필립스 곡선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적용되며, 장기적으로는 상관성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장기적으로 실업률이 인플레이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잘못된 환상: 고용을 증가시키려면 인플레이션을 높여야한다는 잘못된 환상을 심어줍니다.
1960년대 영미권에서는 케인스주의를 바탕으로 경제정책을 주로 펼칩니다. 경제학자들은 경기침체와 경제위기를 다루려고 했고, 이를 표현한 것이 필립스곡선입니다. 케인스정책(유효수요정책)이 유효하다는 결론이 되지만, 석유위기 이후 선진국에서는 불황시에도 물가상승률은 저하되지 않는다는 스태그플레이션적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남에 따라 필립스 곡선은 이미 적용되지 않는다는 견해가 유력해집니다.
총공급의 등락으로 물가와 실업률을 커플링 경험하면서 필립스곡선 문제점이 발견되어 1970년대에 필립스곡선은 실종되었습니다
오일쇼크는 총공급을 위축시킴 → 국민소득 낮아지고, 물가는 높아짐 →낮은 국민소득은 경기가 나쁘다는 의미니 실업률은 높아짐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필립스곡선 [Phillips curve]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 thought on “필립스 곡선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관계 스태그플레이션 문제점”